top of page

(soil art) This is a real earth picture : Abstract avant-garde artwork



Art lovers who are new to Dojoong Jo's solo exhibition may wonder that he is a Western painter.


조도중의 개인전을 처음 접하는 미술 애호가들은 그가 서양화가라는데 의문을 가질지도 모른다.




This is because the painting tools used in the work are not oil paintings, and the theme does not necessarily match those of Western paintings.


작품에 사용 된 회화 도구는 유화가 아니고, 그 주제는 서양화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Jo Do-jung's crater was created independently based on the various colored soils he discovered through hard work, and his theme is also deeply related to the earth.


조도중의 화구는 노력을 통해 발견 한 다양한 색의 흙을 바탕으로 독자적으로 만들어졌고, 그의 주제도 대지와 깊은 관련이있다.


Let's see the forest, one of his masterpieces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일 숲을 보자


In this work filled with an atmosphere that warms our hearts, tree trunks and flowers are organically combined, but their shape is abstracted. In abstraction, we tend to associate something artificial. However, in the forest, the abstraction is strangely not artificial.


마음을 따뜻하게하는 분위기로 가득한이 작품에서는 나무 줄기와 꽃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지만 그 모양은 추상화되어있다. 추상화에서 우리는 인공적인 것을 연관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숲에서 추상화는 이상하게도 인공적이지 않다.




This paradox was able to come true because the forest itself is all a world of dirt. The crater itself is also soil, but more importantly, the tree trunks in the forest resemble the soil without fail.


이 역설은 숲 자체가 모두 흙의 세계이기 때문에 실현 될 수있었다. 화구 자체도 흙이지만, 더 중요한 것은 숲의 나무 줄기가 흙과 닮았다는 것이다.


As a result, it turns out that the trees in the forest became trees of soil, and in that sense, the forest trees were none other than the trees of earthly life.


그 결과 숲의 나무가 흙의 나무가되었고, 그런 의미에서 숲의 나무는 다름 아닌 생명의 나무였음이 밝혀지게된.


The world of Dojoong Jo is based on the soil of the rural areas, and the simple emotional appeal has penetrated into the screen enough to dominate his intellectual composition.


조도중의 세계는 농촌의 흙을 기반으로하고 있으며, 단순한 감성적 매력이 그의 지적 구성을 지배 할만큼 화면에 스며 들어있다.




An excerpt from an article by Professor Bo-Young Lee, a literary critic from Do jung jo's solo exhibition




단지 고루한 자연주의가 아닌 아방가드르 적 요소가 담긴 추상입니다


문학평론가 이보영 교수가 2012 년 조도중 개인전에 부친글에서 발췌.





유튜브 동영상으로 보기





18 views0 comments
bottom of page